
책소개
제7판을 출간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원칙적인 내용만 쓰여져 있어서 다양한 견해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저술되었습니다.
1. 한국회계기준원에서 발표한 교육자료 및 질의회신을 최우선으로 하였습니다.
2. 다양한 견해가 있는 경우 그러한 견해들(갑설, 을설)을 모두 설명하였습니다.
3. 다양한 견해 중에 어느 견해가 다수설에 해당하는지 파악하도록 하였습니다.
4. 다수설이 파악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제위원인 교수들의 견해를 우선하였습니다.
이를 위하여 송인만, 윤순석, 최관 공저, ‘중급재무회계’, 정운오, 나인철, 이명곤, 조성표 공저, ‘중급회계’ 및 김성기, 윤성수 공저, ‘중급회계’를 참조하였습니다.
많은 질문을 받으면서 공부하는 초기에는 수험생들은 어느 계정과목이 당기순이익과 기타포괄손익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중급회계 및 고급회계 기본서와 북클릿(booklet)의 회계처리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로 하였습니다
즉, 당기순이익에 포함되는 항목은 파란색(재평가이익)으로, 기타포괄손익에 포함되는 항목은 굵은 파란색(재평가잉여금)으로 각각 표시하기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나머지 계정과목들은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 및 자본과 관련된 계정입니다.
오래전부터 수험서를 쓰면서 저자는 스스로 크리에이터(creater)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깨달았습니다. 그런 것이 시험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을
그래서 저자는 오직 지식 전달자(giver)가 되기로 했습니다.
뭐가 옳은지 그른지는 판단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한낱 강사 주제에 무슨 판단을 하겠습니까?
수험생들을 위한 말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냐고 조언을 구하면, 대부분 빠뜨리는 것 없이 모두 다 공부하라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맞는 말입니다. 근데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밥은 안 먹고 잠은 안 잘 건가요? 알고 보면 몇 년을 공부해서 겨우 시험에 붙은 사람들이 하는 말들이 그런 것입니다. 모든 내용을 다 공부해서 자신이 합격한 것이라는 그들의 말을 믿지 마십시오. 그들은 너무 오래 공부해서 모든 내용을 다 공부하였던 것입니다. 실제로는 다 공부하지도 않았지만. 사람들은 항상 자기 이야기만 합니다. 자기가 공부한 방법만을 이야기하고 그것이 진실이라 믿습니다. 그러나 진실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모든 내용을 다 공부할 시간은 어느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습니다. 저자 역시 재무회계를 다 모릅니다. 알고 싶지도 않습니다. 중요한 것만 집중적으로 공부하여야 빠른 시간 내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건설계약의 회계처리를 강의하지 않습니다(책에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저자는 건설계약의 회계처리가 시험에 나온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걸 알아서 뭐할까요? 혹시 나올까봐? 나오면 틀리면 됩니다. 그게 나오면 10점입니까? 20점입니까? 어차피 1-2점 아닌가요? 그거 공부할 시간에 더 중요한 다른 것을 공부하면 더 좋은 점수를 받는 거 아닌가요? 틀리면 된다는 생각, 그런 생각이 이 책을 보시게 될 당신을 바꿉니다
세상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당신이 바뀌어야 합니다.
목차
- 상권차례
제1장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차례
제1절 재무회계의 기초 13
1. 재무보고 13
2. 회계기준의 제정 15
3. 외부감사제도와 회계처리기준 17
제2절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19
1. 목적과 위상 19
2. 일반목적재무보고서의 목적, 유용성 및 한계 21
3.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28
4. 재무제표와 보고기업 36
5. 재무제표 요소 40
6. 인식과 제거 50
7. 측 정 56
8. 표시와 공시 67
9. 자본과 자본유지개념 70
○×문제 75
객관식 문제 77
제2장 재무제표 표시
제1절 일반사항 81
1. 재무제표의 목적 81
2. 전체 재무제표 82
3. 일반사항 82
4. 재무제표의 식별 89
제2절 재무상태표 91
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91
2. 재무상태표의 표시방법 92
3.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분류 94
4. 재무상태표 또는 주석에 표시되는 정보 99
제3절 포괄손익계산서 100
1.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정보 100
2. 포괄손익계산서의 표시방법 101
3. 비용의 분류방법 103
4. 영업이익 106
5. 기타포괄손익 109
6. 포괄손익계산서 또는 주석에 표시되는 정보 112
○×문제 113
객관식 문제 115
제3장 공정가치 측정과 현재가치 평가
제1절 공정가치 측정 119
1. 정 의 119
2. 측 정 120
3. 비금융자산에 대한 적용 124
4. 부채와 자기지분상품에 대한 적용 125
5.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 127
6. 가치평가기법 128
제2절 현재가치 평가 131
1. 현재가치평가대상 131
2. 내재이자율 132
3. 현재가치할인차금 133
4. 현재가치할인차금의 상각 135
5. 유효이자율법의 의미 141
○×문제 145
객관식 문제 147
제4장 수 익
차례
제1절 계약수익 149
1. 의 의 149
2. 수익인식의 5단계 150
3. 계약의 식별 151
4. 수행의무의 식별 157
5. 거래가격의 산정 159
6. 거래가격의 배분 165
7. 수익의 인식 172
제2절 계약원가와 표시 176
1. 계약원가 176
2. 본인과 대리인 180
3. 표 시 182
제3절 거래형태별 수익 185
1. 위탁판매 185
2. 시용판매 189
3. 상품권 190
4. 계약에 포함된 유의적인 금융요소 192
5. 반품권이 부여된 판매 197
6. 재매입약정 200
7. 미인도청구약정 204
8. 구매선택권 205
9. 고객충성제도 207
10. 정기간행물 구독료 212
11. 설치용역 214
12. 재화나 용역간의 교환 215
13. 라이선싱 218
14. 소프트웨어 222
15. 보험대리용역 225
16. 환불되지 않는 선수수수료 226
17. 광고제작수익과 광고매체수익 228
18. 기타 수익의 인식 230
○×문제 233
객관식 문제 235
연습문제 239
제5장 건설계약
제1절 건설계약의 기초 245
1. 계약수익 245
2. 계약원가 247
제2절 원가기준 248
1. 건설계약의 회계처리 248
2. 재무상태표 공시 252
3. 특수한 계약원가 257
4. 손실이 예상되는 건설계약 271
제3절 건설계약의 기타사항 282
1. 원가기준 이외의 진행률을 사용하는 경우 282
2. 건설계약의 분할과 병합 285
3. 진행기준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287
○×문제 291
객관식 문제 293
연습문제 297
제6장 재고자산과 농림어업
제1절 취득원가의 결정 305
1. 의 의 305
2. 취득원가 306
제2절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311
1. 의 의 311
2. 수량의 결정 312
3. 단위원가의 결정 317
4. 수량부족 324
5. 저가법 325
제3절 소매재고법 333
1. 의 의 333
2. 원가율의 산정 334
3. 특수한 항목의 고려 335
차례
제4절 농림어업 339
1. 의 의 339
2. 생물자산과 수확물 및 생산용식물 340
3. 인식과 측정 342
4. 정부보조금 346
○×문제 349
객관식 문제 351
연습문제 355
제7장 유형자산(Ⅰ):최초인식과 후속측정
제1절 유형자산의 최초인식 361
1. 인식과 분류 361
2. 원 가 362
3. 원가의 구성요소 365
4. 유형자산별 원가 369
제2절 후속측정-원가모형 374
1. 감가상각 374
2. 손상과 회복 385
3. 제 거 393
제3절 후속측정-재평가모형 395
1. 의 의 395
2. 최초적용 396
3. 후속적용 401
4. 제 거 410
5. 손상과 회복 411
○×문제 417
객관식 문제 419
연습문제 427
제8장 유형자산(Ⅱ):취득형태별 원가
제1절 정부보조 441
1. 의 의 441
2. 인식방법 442
3. 정부보조금의 대응논리 443
4. 자산관련 보조금 444
5. 유형자산의 제거 449
6.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의 정부대여금 451
7. 상환면제가능대출 453
8. 정부보조금의 상환 453
제2절 복구비용 456
1. 의 의 456
2. 복구비용의 추정 457
3. 복구비용의 회계처리 459
4. 복구충당부채의 변동 463
제3절 기타 취득 466
1. 교환취득 466
2. 할부구입 470
3. 현물출자 472
4. 무상취득 474
○×문제 475
객관식 문제 477
연습문제 482
제9장 차입원가
제1절 차입원가의 기초 491
1. 의 의 491
2. 적격자산 493
3. 자본화대상 차입원가 494
4. 자본화기간 495
차례
제2절 차입원가의 자본화 498
1. 기본구조 498
2. 적격자산의 연평균지출액 499
3. 특정차입금과 관련된 차입원가 501
4. 일반차입금과 관련된 차입원가 503
5. 자본화기간이 두 회계기간에 걸쳐 있는 경우 509
○×문제 511
객관식 문제 513
연습문제_ 517
제10장 무형자산
제1절 무형자산의 최초인식 525
1. 무형자산의 요건 525
2. 분 류 527
3. 인식과 측정 528
제2절 무형자산의 후속측정 532
1. 의 의 532
2. 원가모형 532
3. 재평가모형 538
4. 제 거 539
5. 손 상 539
제3절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540
1. 연구단계와 개발단계 540
2. 회계처리 542
제4절 탐사평가자산과 박토원가 및 웹 사이트 원가 547
1. 탐사평가자산 547
2. 박토원가 551
3. 웹 사이트 원가 552
○×문제 555
객관식 문제 557
연습문제 561
제11장 금융부채
제1절 금융부채의 기초 565
1. 금융부채와 지분상품 565
2. 금융부채의 분류 567
3. 금융부채의 최초인식과 측정 570
4. 시장이자율 571
5.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573
6. 금융보증계약 577
제2절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579
1.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의 기초 579
2. 명목상 발행일의 사채발행 582
3. 이자지급일 사이의 사채발행 587
4. 사채의 기타 사항 594
5. 사채의 상환 600
6. 금융부채의 조건변경 606
○×문제 611
객관식 문제 613
연습문제 620
제12장 충당부채와 보고기간후사건
제1절 충당부채의 기초 627
1. 의 의 627
2. 충당부채 629
3. 우발부채 633
4. 우발자산 634
5. 공시할 수 없는 경우 635
제2절 충당부채의 측정 638
1. 최선의 추정치 638
2. 위험과 불확실성 640
3. 현재가치 640
4. 미래사건 640
5. 예상되는 자산 처분 641
6. 미래의 예상 영업손실 641
7. 손실부담계약 642
8. 구조조정 644
9. 충당부채의 사용과 변동
차례
647
10. 충당부채의 변제 647
제3절 충당부채의 종류 649
1. 제품보증 649
2. 환불부채 658
3. 경품충당부채 661
제4절 보고기간후사건 663
1. 의 의 663
2. 보고기간후사건 664
3. 계속기업 665
○×문제 667
객관식 문제 669
연습문제 673
제13장 자 본
제1절 자본의 기초 679
1. 의 의 679
2. 주식의 종류 682
제2절 자본거래 686
1. 유상증자 686
2. 유상감자 697
3. 무상증자와 무상감자 699
4. 자기주식 700
5. 상환우선주 704
제3절 손익거래 709
1. 의 의 709
2. 이익준비금과 임의적립금 710
3. 배 당 711
4. 이익잉여금의 회계처리 718
제4절 자본변동표 722
1. 의 의 722
2. 자본변동표의 구성요소 724
○×문제 727
객관식 문제 729
연습문제 734